욕실 리모델링과정
1 철거 벽에 부착된 각종 위생기기들을 뜯어낸다. 이때 기존 배관 안으로 철거 잔재
물이 들어가지 않도록 배관을 막아 둔다. 타일이 마음에 들지 않을 경우, 타일을 모
두 뜯어낸다.
2 방수 공사 철거하다 보면 욕실 여기저기에 금이 가므로 다시 방수 공사를 해야 한
다. 최소한 세 번 이상 꼼꼼하게 방수 처리를 해야 한다. 1차 방수는 방수액을 시멘
트와 섞어 바른다. 2~3차는 우레탄 방수액을 바르면 된다. 방수액은 굳으면 고무 성
질이 생겨 물이 샐 틈이 없다. 특히 방수액을 발라 놓았을 경우, 절대 출입을 통제하
고 갈라진 틈이 생기지 않도록 주의한다. 그 다음 담수 테스트를 거친다. 24시간 이
상 물을 채워 놓고 아래층으로 물이 새지 않는지 점검한다.
3 설비 공사 욕조나 세면기, 양변기 등의 위치를 바꿀 때는 배관 공사를 다시 해야
한다. 기존의 배관을 옮길 때는 연결 부위를 완벽하게 붙여야 한다. 배관 작업이 필
요하지 않다면, 위생기기 설치 후 배관을 연결하면 된다.
4 전기 배선 공사 욕실 안에는 기본적으로 조명 공사를 위한 전선 매입 작업이 필요
하다. 또한 요즘에는 비데, 면도기, 드라이어, 라디오, 전화기, 액정TV 등 다양한 전
기제품들을 욕실 안에 설치하므로, 이에 맞게 콘센트를 설치해야 한다. 물을 쓰는 공
간이므로 합선 및 누전에 주의해야 한다. 때문에 콘센트는 습기 방지용 콘센트를 선
택하고, 바닥에서 1미터 이상 떨어진 곳에 설치한다.
5 타일 공사 일반적으로 타일은 자기질 타일과 도기질 타일로 구분되는데 1천3백 도
이상의 고온에서 구운 단단한 자기질 타일은 바닥용으로 사용되고, 8백 도 이하에서
구운 도기질 타일은 벽체용으로 사용된다. 바닥용 타일은 밟았을 때 깨지지 않을 정
도로 단단한 것이어야 한다. 요즘에는 바닥용 타일을 벽체용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6 위생기기 및 액세서리 설치 공사 욕조, 세면기, 양변기를 비롯, 수전, 수건걸이, 수
납장 등을 설치한다.
욕실 개보수 시 유의사항
1 인테리어 회사 및 설비 회사에 자신의 요구 사항을 자세하고 정확하게 전달한다.
또한 공사를 맡겼더라도 꼼꼼하게 자재 및 제품의 특징을 알아야 원하는 대로 공사를
진행할 수 있다. 욕조 및 세면기 등 위생도기는 취향에 맞는 것으로 직접 고른다.
2 욕실은 물을 사용하는 공간이므로 방수 상태를 필히 점검하고, 오물을 배출하는 곳
이므로 배수와 냄새 역류 등의 문제를 점검해야 한다.
3 배수관을 잘못 공사하거나 방수층이 불량일 때에는 아래층에 막대한 피해를 주게
되므로 주의를 기울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