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 화장실의 높이는 보통 설계단계에서 일괄적용하게 되는데 법정높이는 2.1m
입니다.
즉 2.1m이하의 화장실은 법적으로 못하게 되어있으며 만약 2.1m 이하의경우 사용승인
이 나지 않아 건물을 사용하지 못합니다
1.윗층 배관라인의 여유공간 확보를위해 거실이나 방의 천정보다 낮습니다
2.설계단계에서 저층부(15층이하)와 고층부(15층이상)의 천정높이를 달리 적용한우.
3.아파트단위세대 평면형태상 욕실의 폭이 좁고 깊이가 깊은경우-수평배관라인이 길
어져 그 구배를 잡기위해 들어가는 공간 만큼 천정 높이가 낮아지게 됩니다
4.시공시 시공사의 실수로 천정높이를 저층부와 고층부를 달리 적용한경우.
5.시공사 수익성재고를 위해 층고를 의도적으로 낮춘경우(천정높이가 높을 수록 방수
와 타일및 미장 공사량이 많아지므로 가능한 낮추려는 경향이 있습니다)-소규모 주택
건설업자가 시행한 아파트일 수록 천정 높이가 낮습니다
6.공간인지에 대한 심리적요인 입니다만 같은 높이의 천정이라도 화장실의 폭과 깊이
가 깊을 수록 낮아보입니다
참고로 일반적인 아파트의 화장실 천정높이는 2.2m가 많고요 대규모 최근의 아파트인
경우 MC설계 규정때문에 저층/고층 구분없이 일괄적용합니다
다음 방법을 사용해 보세요 아마 그정도가 현저히 줄어들거라 봅니다
1.욕실에 대형거울이 설치되어있다면 작을 거울로 바꾸어 보세요
-대형거울은 실의 넓이를 확장시켜 보이게하는 효과가 있어 상대적으로 천장 높이가
낮아보입니다.
-거울바꾸기가 여의치 않타면 거울테두리 일부에 그래픽디자인지를 붙이거나 하는 방
법으로 거울의 반사면적을 줄여 보세요
2.욕실내부에 욕조가 있다면 욕조와의 경계부에 비닐계의 차단막이나 비닐커텐을 설
치해 보세요
-시선의 깊이를 낮춤으로써 천장높이가 높게 보이는 효과가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화장실은 골조공사시 슬래브를 바닥보다 조금 낮춥니다.(보통 60mm)
물을 쓰기때문이기도 하지만 화장실은 방수공사를 하고 타일마감을 하기때문에 거실
바닥과 높이를 맞추려고 슬래브를 낮추게 됩니다.
아파트는 다른 일반건물들에 비해 층고가 낮기때문에 기준보다 더 낮추기도 힘들고
요즘의 추세는 화장실에 대개 샤워부스가 있기때문에 거실바닥마감과 높이를 맞추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오피스도 마찬가지로 화장실턱을 두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