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장 자동로그인




 
작성일 : 24-10-22 18:48
광주시 부동산대책 부동산현황
 글쓴이 : 금메달공인중개사
조회 : 393  
광주광역시 북구 운암동 토지매매, 땅매매 ,상가 ,주택 ,운암동아파트매매, 운암동 원룸전문, 다가구주택전문, 운암동 공인중개사, 벽산아파트,롯데아파트,
블루시안아파트, 현대아파트,삼호아파트 ,금호아파트 , 광주은행 부근 ,상가 집합건물 매매 ,임대
운암동 부동산 ,운암동 공인중개사, 금메달 공인중개사, 광주 북구 부동산, 광주 운암동 부동산




요즈음은 부동산 거래를 묻는 전화보다도 분양회사에서 걸려 오는 전화나 문자가 넘쳐나고 있다.

문자만 해도 하루에 10건이 넘는 메시지가 전송되고 있다.

그만큼 광주지역 신축 아파트의 거래가 잘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반증이기도 하다.

인터넷이나 유튜브를 보면 광주지역 신축아파트 중에서 분양가 보다 낮은 마이너스 형태로 나오는 매물들이 상당히 많다는 것을 실감할 수 있다.

신축아파트 뿐만아니라 10년 내외의 기존아파트도 거래절벽에 막혀있다.

필자 사무소 옆의 아파트도 실거래 현황을 보면 9 월달에 매매 건수가 딱 한 건인 것을 보면 현재 부동산 분위기를 직감할 수 있다.

이곳 부동산 사무소는 70여 곳을 상회 하는데도 불구하고 계약성사가 되지 않고 있다.


이런 연유인지 부동산사무소도 개업 숫자보다 폐업 숫자가 더 많은 실정이다.

그렇다면 왜 이렇게 부동산 거래가 뜸한 이유는 무엇일까?


물론 국내의 경제 상황이나 세계의 불안정한 상황들도 연관이 있겠지만 국내의 부동산 정책에도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

한국은행이 지난번에 기준금리를 0.5%포인트 인하 했지만 매수 심리는 더 얼어붙는 느낌이다.


대출 규제가 강화되면서 시장 전반의 매수 심리가 위축되고 있다.

시중은행들은 금리 인하 후 최근 가계부채 관리를 이유로 주택담보대출의 금리를 더 올리는 등 대출 문턱의 벽은 한층 더 높아지고 있다.

시장이 관망세을 유지하는 원인은 가계부채 관리를 명목으로 한 금융당국과 시중은행의 돈줄 죄기가 한 몫을 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9월부터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이 시행되며 대출 한도가 줄어든 탓도 있지만 무엇보다 시중은행이 1주택자 이상 보유자에 대한 대출을 제한하면서 돈 빌리기가 어려워지고 있다.


이미 거래 절벽 수준인 광주지역에서는 가뜩이나 움츠러든 수요가 더 위축될 가능성이 크다는데 문제점이 심각하다.

물론 신축 아파트 미분양 등의 문제는 결국 입지에 비해 가격이 너무 높거나, 수요가 부족한 곳에 과도한 공급이 이루어진 영향도 있지만 집을 많이 지어 놓더라도 실거주, 실수요만 허용하는 정책 기조로 인하여 거래 둔화 현상은 가속화되고 있다.

지방을 살리기 위해선 지방의 유능한 대학 확대와 연구소 등을 보강하고, 기업의 지방 이전 등을 통해 지방 경제와 일자리를 살리는 등 부동산 외적인 종합적 대책도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특히 기업 등의 경우 법인세 감면 등의 특별한 혜택이 있지 않는 이상 자발적 이전을 이끌어 내기가 쉽지 않다는데 문제점이 있지만 다양한 방법을 통한 세수 감수에 대한 보완책도 필요해 보인다.

따라서 부동산 시장을 살리고 활성화 시키기 위해서는 다양한 인프라 확충 및 교통망 개선과 더불어 다주택자 등에 대한 혜택 등도 뒤따라야 할 것이다.

부동산 산업은 우리나라 경제를 살리는 근간이 되고 있다.

침체된 부동산 산업을 살리기 위해서는 금융, 세제 혜택 등 다양한 대책이 수립되어야 할 것이다.


부동산의 활성화는 자유시장 경제에 맡기는 것이 원칙이지만 침체일로를 걷고 있는 현 상황에서는 정부의 보다 적극적인 대책만이 부동산의 숨통을 틔우는 촉매제가 될 것이다. 


이름 패스워드
스마트폰에서 글쓰기 모드 에디터 모드
비밀글 (체크하면 글쓴이만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왼쪽의 글자를 입력하세요.
 
   
 

1 집마니 소개 | 개인정보 취급방침 | 매물등록안내 | 매물등록신청 | 찾습니다 | 공지사항